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

경북 초대형 산불진화, 의용소방대 ‘지역 안전망’역할!!

태양광신문 기자 입력 2025.04.01 14:53 수정 0000.00.00 00:00

총 6,800여명 투입 … 산불진화, 문화재보호, 주민대피까지

↑↑ 경북 초대형 산불진화, 의용소방대 ‘지역 안전망’역할!!
[태양광신문=유현수기자]경상북도 소방본부는 지난달 22일 의성군 안평면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이 강풍을 타고 경북 북부 전역인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으로 확산됐으며, 경상북도 의용소방대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대응을 통해 지역 안전망의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산불 발생 직후, 경북 지역 12개 시·군의 6,800여 명의 의용소방대원들이 비상 소집되어 산불 진화 현장에 긴급 투입됐으며, 대원들은 전문 소방 인력과 협력하여 방화선 구축, 진화 장비 운반, 고립 지역 진입, 주민 구조 및 대피 유도 등 다양한 고위험 임무를 수행하며 불길 확산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산악 지역과 비탈진 임도에서는 농약 살포기, 이동식 펌프, 개인 살수차 등을 자발적으로 동원하여 불길을 차단했다. 대원들은 마을 단위로 2~3인 1조를 이루어 야간 진입을 감행하고, 잔불 정리 및 대피 유도를 병행하며 지역 주민들의 안전을 확보했다. 특히 안동시 일대에서는 의용소방대가 선제적으로 방화선을 구축해 마을 피해를 최소화했다.

이번 산불은 문화재에도 심각한 위협을 가했다. 안동시 풍천면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이 불길의 영향권에 들자, 의용소방대는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특별 대응에 나섰다. 대원들은 소방차와 함께 현장에 투입되어 건축물 집중 살수, 불씨 착화 방지, 방화선 확보 등의 보호 활동을 펼쳤다.

또한, 화재에 취약한 목조 건축물의 특성을 고려해 지붕 주변의 가연물 제거 작업을 병행하며, 상황 악화 시 주요 유물의 임시 이동 방안도 사전에 마련했다.

산불 진화 외에도 의용소방대는 이재민 보호 활동에도 적극 참여했다. 대원들은 대피소에서의 질서 유지, 노약자 보호, 구호물품 배부, 임시 숙소 운영 등 다양한 지원 활동을 통해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했다.

특히, 의용소방대원들은 대부분 지역 주민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재민들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신뢰를 주었다. 한 주민은 “대원들이 아는 얼굴이라 무척 든든했고, 대피 과정에서도 믿고 따를 수 있었다”고 전했다.

경상북도 의용소방대 석영환·정유선 연합회장은 “의용소방대의 역할과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했으며, 지역 안전망 구축에 더욱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성열 경북소방본부장은 “의용소방대의 신속한 대응과 현장 중심의 활동이 피해 확산을 막는 데 결정적이었다”며 “앞으로도 교육과 장비 지원을 통해 지속적인 역량 강화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태양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